반응형

C++에서만 쓰이는 연산자가 있다고 한다.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범위 지정 연산자 (scope resolution operator)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연산자이다.

범위지정 연산자 (::)는 여러 범위에서 사용된 식별자(identifier)을 식별하고 구분하는 데 사용하는 연산자이다.

이러한 식별자로는 변수, 함수, 열거체 등이 올수 있다.

 

범위지정연산자를 변수 이름 앞에 붙이면 해당 변수는 전역으로 사용하라는 의미가 된다.

클래스에 사용하면 네임스페이스멤버를 식별하거나, 클래스의 정적 멤버를 호출할 수 있다.

<문법>

1. ::식별자

2. 클래스이름::식별자

3. 네임스페이스::식별자

4. 열거체::식별자

멤버 포인터 연산자 (pointer-to-member operator)

멤버포인터 연산자를 사용하여 클래스의 멤버를 가리키는 포인터를 정의할 수 있다.

두 가지 형태가 존재.

1. 왼쪽의 피연산자가 클래스타입의 객체인 경우

2. 왼쪽의 피연산자가 클래스 타입의 객체를 가리키는 포인터인 경우

<문법>

1. 클래스타입의객체.*멤버이름

2. 클래스타입객체의포인터->*멤버이름

typeid 연산자

typeid 연산자를 사용하여 객체의 타입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ypeid 연산자는 런타임에 객체의 타입을 결정하는 데 사용합니다.

또한, 템플릿에서 템플릿 매개변수의 타입을 결정할 때도 사용합니다.

<문법>

typeid(표현식)

반응형

'CS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공부 스타 - 또  (0) 2023.07.18
반응형

평범한 일상을 보내다가 오랜만에 백준 문제를 풀러 갔는데 왠지 C언어가 비효율적?으로 길게 코딩을 늘여쓴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래서 갑자기 C++을 공부하고 싶어졌다. ㅋㅋㅋ

 

C++ 개요

C++

기존 C언어에 여러 기능이 추가된 프로그래밍 언어.

C언어에서 절차지향적 특징을 가져오고, 클래스를 사용하는 등의 객체지향적 언어이며, 템플릿으로 대변되는 일반화 프로그래밍 방식의 언어이기도 하다.

C를 기초삼아 만든 언어이므로, 기존 C표준 라이브러리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C++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 절차지향적 프로그래밍의 습관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특징

1. 절차지향적 & 구조적 프로그래밍 언어

2.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

3. 일반화 프로그래밍 언어

작동 과정

소스코드 작성

전처리

컴파일러에 의한 컴파일

링커에 의한 링크

실행파일 생성

 

컴파일 하는 방법(리눅스)

g++ [소스코드.cpp]

하면 오브젝트파일 생성됨.

 

반응형

'CS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공부하기 | C++연산자  (0) 2023.07.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