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 Grok, Gemini와 같은 거대 인공지능들은 우리 일상의 모든 영역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하지만 우리 일상 속 대부분의 AI는 "중앙집중형(Centralized)"이라는 한계 속에서 powerful entity들에 의해 선별되고 컨트롤되는 정보에 의존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AI들이 정말 "전적으로" 우리가 의존해도 되는 존재일까.
Microsoft, Google, NVIDIA와 같은 거대 기술 기업들이 막대한 데이터, 컴퓨팅 인프라를 독점하다시피 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 작은 스타트업들은 이들과 제대로 된 경쟁조차 하기 힘들다. 이는 단순 경제적 문제를 넘어 혁신의 다양성이 저해되고, 소비자들의 선택권 또한 제한되며 이로 인해 AI의 발전 속도 자체를 늦추는 결과를 낳고 있다.(출처)
하지만, 더욱 심한 문제는 편향성의 고착화이다. 중앙집권적으로 학습된 AI 모델들은 개발자들의 세계관, 그리고 편향된 데이터가 사용되었을 경우, 이를 그대로 반영하게 된다. 유네스코의 2024년 연구에 따르면, 주요 LLM들이 정치, 인종, 성별 등에 대해 편향된 결과를 연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
많은 사람들이 업무, 과제, 일상 대부분에서 AI와 함께하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이렇게 중앙화되어 선별되고, 통제되는 AI는 우리의 생각과 삶의 방향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중앙집권형 AI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탈중앙화된 AI(DeAI)이다.
지금 소개할 Allora 역시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DeAI중 하나이면서, 아주 매력적이라는 생각이 들어 소개해본다.
1. 창립 배경
처음에 Upshot이라는 이름으로 창립되었던 이 회사는, AI를 활용한 자산 가격 발견에 중점을 둔 회사였지만, AI와 크립토 인프라 구축 분야에서 꽤 긴 시간동안 경험을 쌓으면서 더 큰 비전을 품게 되었다.
2024년 2월, 회사 이름을 Allora Labs로 리브랜딩하면서 탈중앙화 AI 네트워크 구축이라는 더욱 큰 목표를 잡아 AI의 패러다임을 바꾸겠다는 의지를 표현하였다.
창립자는 Nick Emmons(CEO)와 Kenny Peluso(CTO)가 있다.
CEO인 Nick은 John Hancock의 Lab of Forward Thinking에서 수석 블록체인 엔지니어로 근무하였으며, CTO인 Kenny또한 John Hancock에서 full-stack개발자로 일한 경험이 있다.
이들은 이와같이 전통 금융업계에서 경험을 통해 중앙집권적 시스템이 가진 효율성, 그리고 그 한계를 직접 경험하였으며, 탈중앙화된 해결책의 필요성을 느낀 배경이 되었다.
2. 성장 과정
이들은 2020년 초 100만 달러 시드 라운드를 시작으로, 2021년 750만, 2022년 2,200만 달러의 series-A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 2024년에는 추가로 300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해 총 3,500만 달러의 펀딩을 달성했다.
투자자 라인업 또한 인상적인데, Allora 웹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듯, Polychain Capital, Framework Ventures, Blockchain Capital 등 블록체인, AI 분야 최고 투자사들이 참여한 것을 볼 수 있다.
3. Allora Labs의 DeAI
이들은 단순한 AI플랫폼을 만들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World Machine Intelligence Abstraction Layer를 만들어 AI를 널리 접근 가능하게 만들고, 데이터, 알고리즘을 가진 누구나 AI에 기여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고자 한다.
아래는 이들이 진행하고 있는 여러 프로젝트들의 일부이다.
- 1. Mind Network의 FHE기술을 응용해 민감/학습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 2. 일본 gumi와 협력을 통해, 게임 내 AI 기반 추론, 에이전트 등을 지원하고 있다.
- 3. Story Protocol과 IP 생태계 통합을 통해 지능형 IP를 관리 및 창작물의 가치평가를 제공하고 있다.
- 4. AgentiPy라는 Python framework를 통해 AI agent들이 블록체인과 원활히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여 DeFAI분야에서
4-1. Allora의 가격 예측을 활용해 Meteora에서 유동성 조정을 통해 수수료 earning & impermanent loss 최소화
4-2. Orca에서 Allora의 실시간 가격 Intelligence를 이용해 스마트 거래 실행
이러한 연구를 하고 있다.
- 5. 학습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사용자들에게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차별화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외에도금융분야, 헬스케어, 게이밍 등 여러 분야에서 범용성 있게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Allora Network는 단순히 예측을 집계하는 것이 아닌, 현재 상황에서 각 모델이 얼마나 정확할지를 예측하는 예측(Forecasting the Forecasting)을 통해 더 강력한 clustered-result를 생성한다. 이는 기존 AI 시스템들과 완전히 다른 접근법으로, 개별 모델의 한계를 뛰어넘는 탈중앙화된 방식을 활용한 진정한 집단지성을 구현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접근법을 통해 Allora Labs는 AI의 미래가 소수 기업의 독점이 아닌, 전 세계 개발자들과 연구자들이 협력하여 만들어가는 집단지성의 시대를 만들고자 하는 것 같다.
참고 문헌들:
https://www.allora.network/blog
Blog
Stay up to date with the collective knowledge of Allora.
www.allora.network
'web3 > web3 research' 카테고리의 다른 글
Virtuals Protocol 1편 (1) | 2025.01.03 |
---|---|
[Web3 리서치] Block의 개념에 대해 공부해보자! (3) | 2024.07.29 |
Gasper(Casper + LMD GHOST)에 대해 공부해보자! (5) | 2024.07.15 |
[Bitcoin] 블록체인 기술공부 / 비트코인 백서 공부 (5. 네트워크) (1) | 2024.04.09 |
[Bitcoin] 블록체인 기술공부 / 비트코인 백서 공부 (3. 타임스탬프) / 이중지불 문제 (0) | 2024.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