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간의 업사이드아카데미 1기 DeepHigh팀 팀장으로서의 활동을 끝내고, 어떤 공부를 해야할지를 고민해보다가 프로젝트 내용에 대해 내가 정말 완벽히 이해하고있는가를 생각해보았다.
작업했던 모든 산출물을 완벽하게 이해하고있는지에 대해 우선적으로 생각해 보았고, 더 공부하고 발전시킬 부분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프로젝트의 주제는 Defi Lending Protocol Audit이었으며, 이에 대한 산출물은 EVM기반 Lending 프로토콜에 대한 위협모델링 및 관련 자료들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다.
https://deephigh.gitbook.io/deephigh
Welcome | DeepHigh
Welcome
deephigh.gitbook.io
실제 위협모델링을 통해 Lending 프로토콜상의 취약점을 찾아보고자 했지만, 정말 사소한 몇 가지 말고는 찾지 못한 것이 다소 아쉽다.
업사이드아카데미 활동에 대한 내용은 추후 시간이 된다면 작성해보고싶다.
내가 생각하는, 프로젝트 기간동안(교육기간 제외) 공부 및 산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부 (docs, code 포함)
- EVM-based Lending 생태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 Compound v2, Venus protocol에 대한 90% 이해
- Euler v2에 대한 70%정도의 이해
- BIFI (Bifrost Lending), BendDAO v2에 대한 30~50% 이해
산출물
- Defi Lending protocol threat modeling framework 제시 및 threat modeling
- Lending Invariant Checklist 제시
- 위협모델링, Checklist에 대한 Validation
이처럼, Lending Protocol에 대해, 그리고 다소 정책(?)에 대한 내용인 위협모델링이라는 것에 대해 공부해보면서, Defi에 대한 정말 전체적인 공부를 해보고싶은 생각이 들었다.
본인은 이제 3개월정도 뒤면 병역의무를 수행하러 군대에 가야하는데, 그 전까지 최대한 많은 공부를 해보고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내가 어떠한 것을 더 배워야할지 정리해보았다.
- 공부한 내용 기록 남기기
- Compound v2는 무조건 남길 것 같다. (마지막에 별첨 느낌으로 Venus도 다루지 않을까?)
- Euler v2도 남길 것 같다. (compound v2와 구조적으로 다르면서 독특한 특징이 여럿 있어 꽤나 흥미로운 녀석이다.)
- 공부할 내용 남기기
- Aave v3 (TVL 1위인 프로토콜은 보는게 맞지…)
- Leverage Lending, NFT 담보대출 등 Lending의 특수기능을 구현한 프로토콜에 대해 공부할 것 같다.
본 스터디에 대한 나의 목적은, 공부한 프로토콜에 대해 누군가 질문을 했을 때, 해당 질문에 대한 정확한 설명, 그리고 어떻게 구현되어있는지까지 모든 것을 답할 수 있을 정도로 공부를 해보고자 한다.
추가하고 싶은 내용, 추가하지 않아도 될 것 같은 내용 등이 있으면 언제든 이 글을 수정해보도록 해야겠다.
많은 사람들, 특히 한국인들이 내 포스팅을 통해 Lending protocol에 대한 흥미를 키울 수 있다면 좋을 것 같다.
대략적인(예상되는) 앞으로의 포스팅 순서
1. Compound v2: 아무래도 나는 보안공부를 하는사람이니... Compound v2 fork에서 발생했던 사고사례분석도 더해볼까 한다.
2. Aave v3
3. Euler v2
4. BendDAO (이건 안할수도 있을 것 같다.)
'web3 > Len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fi Lending 해체분석: Compound v2 - helper functions (2) | 2024.11.16 |
---|---|
Defi Lending 해체분석 1편: Compound v2 톺아보기 (2) - 구조 (1) | 2024.11.11 |
Defi Lending 해체분석 1편: Compound v2 톺아보기 (1) - Intro (2) | 2024.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