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day
- Tota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overthewire
- Crypto
- web3
- 해시
- PWN
- Ethereum
- Leak
- 해킹
- security
- pow
- 코인
- 비트코인
- shellcode
- DreamHack
- V2
- compound
- 블록체인
- pwnable
- BANDiT
- 리눅스
- wargame
- 반딧
- hacking
- solidity
- Linux
- lending
- defi
- 이더리움
- blockchain
- bitcoin
Nullorm
[Bitcoin] 블록체인 기술공부 / 비트코인 백서 공부 (2. 거래) / 트랜잭션(Transaction) 본문
[Bitcoin] 블록체인 기술공부 / 비트코인 백서 공부 (2. 거래) / 트랜잭션(Transaction)
Null0rm 2024. 4. 7. 10:18지난편에 이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트코인의 거래(Transaction)에 대해 한번 공부해보도록 해야겠다.
등장하는 단어들이 다소 어려운 감이 없지않아 있기 때문에, 정말 하나하나 다 설명하면서 넘어가보도록 하겠다.
비트코인 백서: 2. 거래
우리는 전자 화폐(electronic coin)를 디지털 서명의 체인으로 정의한다.
비트코인에서 정의한 전자화폐(가상화폐)는 바로 '디지털 서명의 체인'이라는 방식인 것이다. 이게 무슨 말일까?
우선 그 전에, 디지털 서명을 전자서명과 헷갈릴 수 있을 것 같아 이 둘의 차이점을 짚으면서 개념을 확인해보자. 차이점이라기 보다는 범주의 차이? 정도이다. 전자서명 안에 디지털서명이 있다.
전자서명?
미 전자 상거래법에서는 전자 서명을 전자적 수단에 의해 생성,전송,전달,수신 또는 저장되는 서명의 역할로 계약을 위해 포함되거나 논리적으로 만들어진 기호, 또는 프로세스라고 정의하고 있음.
즉, 비밀번호, PIN, 이메일 인증등이 포함된다고 할 수 있음.
디지털서명?
해싱, 서명, 검증 이 세 가지 알고리즘으로 이루어진 전자서명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음. 디지털서명에 대해 좀 더 자세히 다루고 싶긴 하지만, 거기까지 가면 불필요하게 내용이 깊어질 듯 하여 일단은 넘어가도록 하겠다.
어쨋든, 디지털 서명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자면,
- 무결성 보장: 거래 데이터가 서명 과정을 통해 암호화되므로, 데이터가 전송 중에 변경되면 서명이 무효화됩니다. 이는 거래의 무결성을 보장한다.
- 비역전성: 한 번 거래가 서명되고 네트워크에 의해 확인되면, 거래를 실행한 사람은 그 거래를 부인할 수 없다.
계속 읽다보면 알겠지만, 비트코인은 화폐의 개념보다는, 디지털 서명과 이전 기록들(체인들)의 연속체라는 개념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좋을 것이다.
일단 이정도만 알고, 다음 과정으로 넘어가보자.
각 화폐 소유자는 자신에게 그 화폐를 보낸 직 전 거래 명세(the previous transaction) 및 그 화폐를 받는 다음 소유자의 공개키 (the public key of the next owner)를 해시 처리한 값에 디지털 방식으로 서명하고 이를 화폐 끝에 추가해 다음 소유자에게 송금한다. 수취인(payee)은 그 서명을 검증해 화폐 소유권의 체인을 검증할 수 있다.
잠깐 개념정리
1. 공개키와 개인키
다소 어려운 문장들인 것 같다. 천천히 살펴보자. 우선 여기에 공개키, 개인키라는 용어가 등장하는데, 비트코인에서는 타원곡선 디지털 서명 알고리즘(ECDSA: Eliptic Curve Digital Signature Algorithm)을 이용하여 전자서명(디지털서명)을 수행한다. 이 때 사용되는 key들이 바로 위 그림에 등장하는 공개키와 개인키인 것이다.
공개키는 같은 네트워크의 모든 참여자들이 알 수 있도록 하는 키이며 (검증 등에 사용된다.)
개인키는 본인 이외에는 아무도 몰라야 하는 키이다.(서명 등에 활용된다. )
2. 해시
비트코인에서의 해시(Hash)는 암호학적 해시(Cryptographical Hash)라고도 부르는데, 암호학적으로 무결?한 해시라는 말인 것 같다. 기본만 말하자면 해시는 일방향함수라고 할 수 있다. 즉, 역함수가 존재하지 않는 함수인데, 랜덤한 길이의 입력값에 대해 항상 같은 길이의 결과를 출력하는 알고리즘이라고 볼 수 있겠다. 비트코인에서 사용하는 해시알고리즘인 SHA-256의 경우, 랜덤한 길이의 Input에 대해 256-bit 길이의 출력값을 뱉는다.
그림이 너무 위에 있어 다시 그림을 가져왔다.
위 그림에서 왼쪽부터 user 1, 2, 3이라고 해보자.
user1은 user2에게 비트코인을 송금하는 트랜잭션을 수행하고 싶다.
이 경우, 위에서 설명한대로 직전 거래 명세(user1이 가지고 있는 비트코인 거래 data: 위 그림에서는 첫 번째 블록에 대한 데이터이다.) + 다음 소유자(수취인)의 공개키(user2의 공개키)를 SHA-256으로 해싱하여 그 값을 본인(user 1)의 개인키를 이용하여 ECDSA 알고리즘에 서명하여 다음 소유자(user2)에게 송금한다.
그리고, 다음 소유자인 user2는 user1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검증할 수 있다.
굵게 표시한 부분이 이해가 좀 힘들 수 있다. 그런데... 이정도 설명이 최선인 듯 하여 두세번 더 읽어보며 이해해보기 바란다.
문제 및 해결?
이 과정의 문제는 화폐 소유자 가운데 이중지불(double spending)하지 않은 한 사람을 수취인(user2)가 검증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기존 사회의 솔루션은 신뢰받는 중앙통제기관이나 조폐국을 세우고 모든 거래마다 이중지급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다. 거래를 마칠 때마다 이 화폐는 조폐국으로 회수되어 새로운 화폐로 발행돼야하며, 조폐국에서 직접 발행된 화폐만이 이중지급되지 않았다는 신뢰를 받는다(여러 인증 수단을 통해서...)
이 솔루션을 적용할 때 문제는 마치 은행처럼 모든 거래가 거쳐가야 하는 조폐국 운영 회사 또는 기관에 전체 통화체계의 운명이 달려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비트코인에는 직전화폐(이전 거래내역) 소유자가 앞서 어떤 거래에도 서명하지 않았음을 수취인에게 알릴 수단이 필요하다. 이런 목적에 따라 비트코인은 가장 앞선(가장 먼저 실행된) 거래 하나만을 인정하고, 뒤따르는 동일한 출처의 이중지급 시도를 모두 무시하도록 하는 솔루션이 필요하다.
이중지급 거래가 없음을 확인할 유일한 방법은 모든 거래를 인식하는 것 뿐이다. 조폐국 기반 모델에서, 그들은 모든 거래를 인식했고(서버 등의 중앙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어느 거래라 최초의 거래인지를 인식하고 결정했다.
신뢰받는 제삼자 없이 이 방식을 달성하려면, 거래는 1. 공개적으로 알려져야하고, 2. 참가자가 받은 거래 순서의 이력(코인 송금)에 합의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또한, 수취인(user2)에게는 각 거래 당시 그게 최초로 받은 것이라고 노드 다수가 동의했다는 증명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는 것이 다음 챕터에서 다룰 타임스탬프 서버이다.
'Web3 > Web3 리서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tcoin] 블록체인 기술공부 / 비트코인 백서 공부 (5. 네트워크) (0) | 2024.04.09 |
---|---|
[Bitcoin] 블록체인 기술공부 / 비트코인 백서 공부 (3. 타임스탬프) / 이중지불 문제 (0) | 2024.04.07 |
[Bitcoin] 블록체인 기술공부 / 비트코인 백서 공부 (4. 작업증명(PoW)) (2) | 2024.04.07 |
[용어] 빗썸, 업비트에 등장하는 '에어드랍' 대체 뭘까? (1) | 2024.04.06 |
[Bitcoin] 블록체인 기술공부 / 비트코인 백서 공부 (1. 초록) / 이중지불 문제 (1) | 2024.04.06 |